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경제를 보다, 시작하겠습니다. <br> <br>경제산업부 정현우 기자 나와 있습니다. <br> <br>Q1. 정 기자, AI가 탑재된 스마트폰이 세계 최초로 나왔다고요? <br> <br>[기자]<br>네, 어제 삼성전자가 공개한 갤럭시 S24는 세계에서 처음으로 기기 자체에 AI를 탑재한 제품입니다. <br> <br>AI가 쓰이는 대표적인 기능이 실시간 통역인데요. <br><br>통화 중에 버튼만 누르면 영어, 중국어, 베트남어 등 13개 국어를 통역해줍니다. <br> <br>제가 어제 직접 체험을 해봤는데요. <br> <br>식당을 예약하는 상황을 가정하고 외국인과 대화를 나누는데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었습니다. <br> <br>특히, 기기 자체에 AI가 내장돼 있어서, 인터넷이 연결돼있지 않아도 통역 기능을 쓸 수 있습니다. <br> <br>비행기 안에서 외국인 승무원과 대화할 때, 유용하게 쓰일 수 있겠죠. <br> <br>다만 주변 소음이 심하면 음성 인식 과정에서 간혹 오류가 있었던 점은 참고하셔야겠습니다.<br> <br>Q2. AI의 다른 쓰임새는 어떤 게 있나요? <br> <br>영화를 보다가 배우가 입고 나온 옷의 브랜드나 가격이 궁금해졌던 경험 있으실 텐데요. <br><br>이럴 경우 써클 투 써치라는 AI 검색 기능을 쓰면 됩니다. <br> <br>궁금한 이미지나 단어에 손가락으로 원을 그리면 검색을 해주는 건데요. <br> <br>검색 결과는 구글에서 제공됩니다. <br> <br>다만, 구글의 기술적인 문제로 인물 검색은 지원하지 않습니다. <br> <br>이 밖에도 사진을 찍을 때 너무 많이 확대해서 촬영하면 화질이 깨지잖아요. <br> <br>이 폰은 많이 당겨서 찍어도 AI가 주변 물체를 분석해 깨끗하게 촬영되고요. <br> <br>구도가 비뚤어진 사진도 AI가 바르게 바꿔줍니다.<br> <br>Q3. 다른 제조사들도 따라오고 있죠? <br> <br>삼성전자의 경쟁자, 애플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는데요. <br> <br>애플은 지난해 삼성을 제치고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 1위를 달성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AI는 삼성에 뒤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요. <br> <br>하반기에 차기작인 아이폰 16을 출시하면서 자체 개발한 AI를 탑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> <br>이 밖에 샤오미나 화웨이 등 중국 제조사들도 자체 AI폰 개발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삼성이 AI폰 전쟁의 서막을 열었다고 할 수 있겠죠.<br> <br>Q4. 정 기자, 지난주엔 세계 최대 가전 박람회, 미국 CES도 다녀왔잖아요. CES도 단연 화두는 AI였죠? <br> <br>사실상 이번 CES의 주제가 AI였다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. <br><br>가전제품뿐 아니라 자동차, 건설기계, 로봇 등 각종 기술에 AI가 접목된 경우가 많았습니다. <br> <br>변기에 앉아 소변을 보면 AI가 건강상태를 확인해주거나 옷장 속 옷들을 찍어두면 AI가 매일 어떤 옷을 입을지 추천해주는 등 <br> <br>우리 일상 생활에 밀접한 기술도 볼 수 있었습니다.<br> <br>국내외 대기업은 물론 스타트업들까지 AI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만큼 <br> <br>내년 CES 역시 AI가 최대 화두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> <br>(앵커) 잘 들었습니다, <br><br>경제를 보다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정현우 기자 edge@ichannela.com